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독일의 아이스하키를 대표하며, 1932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1976년 동계 올림픽에서 서독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30년과 1953년, 2023년에 은메달을 획득했고, 1934년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현재, 하롤트 크라이스가 감독을 맡고 있으며, 에리히 퀸하클, 디터 헤겐, 우도 키슬링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 역사
구분 선수 연도 출장 골 어시스트 포인트 최다 출장 우도 키슬링 1972–1992 321 45 68 113 디터 헤겐 1981–1999 301 117 68 185 로렌츠 풍크 1965–1979 225 57 29 86 최다 득점 에리히 퀸하클 1969–1985 211 134 90 224 디터 헤겐 1981–1999 301 117 68 185 라이너 필리프 1969–1982 200 95 57 152 최다 포인트 에리히 퀸하클 1969–1985 211 134 90 224 디터 헤겐 1981–1999 301 117 68 185 알로이스 슐로더 1965–1978 209 91 76 167 2. 1. 초기 역사 (1910-1939)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10년 유럽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1] 193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1] 1932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2] 193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국제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2. 2. 분단 시대 (1949-1990)
1949년 독일의 분단으로 인해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서독과 동독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구 분 | 선수 | 연도 | 출장 | 골 | 도움 | 포인트 |
---|---|---|---|---|---|---|
최다 출장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
최다 득점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최다 포인트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2. 2. 1. 서독
1952년 동계 올림픽부터 서독 대표팀으로 참가했으며, 1976년 동계 올림픽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당시 서독 대표팀은 2승 3패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서독은 미국을 4-1, 폴란드를 7-4로 꺾었다. 한편, 전통적인 아이스하키 강호였던 스웨덴과 캐나다는 동구권 국가들의 프로 선수 참가에 항의하며 1976년 올림픽에 불참했다.1980년대에는 올림픽에서 5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성적을 유지했으며, 1984년 캐나다컵에도 참가했다.
연도 | 대회 | 코치 | 주장 | 최종 결과 |
---|---|---|---|---|
1952년 | 조 에이킨 | 헤르베르트 시부카트 | 8위 | |
1976년 | 자버 운신 | 알로이스 슐로더 | -- 동메달 | |
1980년 | 한스 람프프 | 라이너 필리프 | 10위 | |
1984년 | 자버 운신 | 에리히 휜하클 | 5위 | |
1988년 | 자버 운신 | 우도 키스링 | 5위 |
2. 2. 2. 동독
동독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56년부터 1990년까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2] 196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2]2. 3. 통일 이후 (1990-현재)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동서독 선수들이 통합되어 구성되었다. 1992년 동계 올림픽 8강에서 캐나다에 연장전 끝에 패배했다.[1] 1996년 월드컵 오브 하키에서는 체코를 7-1로 꺾는 등 선전하며 8강에 진출했다.[1]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고,[1]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에 진출하여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에게 연장전 끝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이는 독일 아이스하키 역사상 최고 성적이다.[1] 202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며 다시 한번 경쟁력을 입증했다. 2023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3. 대회 기록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을 비롯한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월드컵 오브 하키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 올림픽 ===
독일은 1928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고, 1932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동계 올림픽에서 서독 대표팀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독일 재통일 이후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독일 아이스하키 역사상 올림픽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역대 올림픽 성적 | ||||
---|---|---|---|---|
경기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16 | 0 | 1 | 2 | 3 |
=== 세계 선수권 대회 ===
독일은 1930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1934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 195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가장 최근인 202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차지했다.
=== 유럽 선수권 대회 ===
독일은 1910년 유럽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1911년, 1914년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1913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1927년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월드컵 오브 하키 ===
독일은 1996년 월드컵 오브 하키와 2004년 월드컵 오브 하키에 출전했지만, 두 대회 모두 8강에서 탈락했다. 2016년 월드컵 오브 하키에는 팀 유럽의 일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기타 대회 ===
독일은 도이칠란트컵에서 1995년, 1996년, 2009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5년, 2021년, 2022년, 2023년에 우승했고, 닛산컵에서 1993년에 우승했다.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4 | 게르트 트룬치카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5 | 안드레아스 니더베르거 | 1983–1998 | 213 | 17 | 41 | 134 |
6 | 에리히 퀸하클 | 1992–2007 | 211 | 134 | 90 | 224 |
7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8 | 다니엘 크로이처 | 1998–2011 | 200 | 36 | 51 | 87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10 | 하롤트 크라이스 | 1978–1992 | 188 | 17 | 34 | 51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4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5 | 에른스트 쾨프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6 | 마르쿠스 에겐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7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8 | 헬무트 슈타이거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9 | 미하엘 볼프 | 1995–2011 | 152 | 52 | 36 | 88 |
구스타프 하니히 | 1964–1974 | 112 | 52 | 32 | 79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4 | 게르트 트룬치카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5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6 | 에른스트 쾨프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7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8 | 필리프 고굴라 | 2005–2017 | 158 | 29 | 76 | 105 |
헬무트 슈타이거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
10 | 마르쿠스 에겐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3. 1. 올림픽
독일은 1928년 생모리츠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다.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구스타프 예네케의 활약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획득했다.[2]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에서는 루디 발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5위에 머물렀다.[3]1948년 생모리츠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4] 1952년 오슬로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헤르베르트 시부카트가 주장을 맡아 8위를 기록했다.
1956년, 1960년, 1964년 동계 올림픽에는 독일 연합팀으로 출전하여 각각 6위, 6위, 7위를 기록했다. 1968년 그르노블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부터는 서독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 1972년 삿포로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도 7위에 머물렀다.
1976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자버 운신 감독과 알로이스 슐로더 주장의 활약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서독 대표팀으로서 최고의 성적이었다. 당시 아이스하키 강호였던 스웨덴과 캐나다는 동구권 국가들이 최고의 선수들을 파견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서방 국가들은 이를 허용하지 않는 아마추어 규정에 항의하여 올림픽을 보이콧했다. 서독은 이 대회에서 미국(4-1)과 폴란드 (7-4)를 상대로 승리했다.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10위에 그쳤다. 1984년 사라예보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과 1988년 캘거리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자버 운신 감독의 지휘 아래 각각 5위를 기록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1992년 알베르빌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1994년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7위에 머물렀다. 1998년 나가노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 2006년 토리노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10위, 2010년 밴쿠버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11위에 그쳤다. 2014년 소치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는 예선 탈락했다.
2018년 평창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마르코 슈투름 감독과 마르셀 고크 주장의 활약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독일 아이스하키 역사상 올림픽 최고 성적이다. 결승전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에게 연장전 끝에 4-3으로 아쉽게 패했다. 2022년 베이징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역대 올림픽 성적 | ||||
---|---|---|---|---|
경기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16 | 0 | 1 | 2 | 3 |
3. 2. 세계 선수권 대회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결과 | 순위 |
---|---|---|---|---|---|---|---|---|
1930 샤모니/빈/베를린 | 4 | 2 | 1 | 1 | 10 | 6 | 결승전 | 은메달 |
1933 프라하 | 6 | 2 | 2 | 2 | 7 | 11 | 2라운드 | 5위 |
1934 밀라노 | 6 | 4 | 1 | 1 | 12 | 5 | 3, 4위전 | 동메달 |
1935 다보스 | 8 | 3 | 2 | 3 | 10 | 13 | 2라운드 | 9위 |
1937 런던 | 7 | 3 | 0 | 4 | 13 | 11 | 2라운드 | 4위 |
1938 프라하 | 8 | 3 | 2 | 3 | 8 | 17 | 2라운드 | 4위 |
1939 취리히/바젤 | 8 | 4 | 1 | 3 | 19 | 14 | 2라운드 | 5위 |
1940-1946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개최 안 함. | |||||||
1947-1951 | 불참 | |||||||
1953 취리히/바젤 | 3 | 2 | 0 | 1 | 15 | 14 | 풀 리그 | 은메달 [1] |
1954 스톡홀름 | 7 | 3 | 0 | 4 | 15 | 22 | 풀 리그 | 5위 [2] |
1955 크레펠트/도르트문트/쾰른/뒤셀도르프 | 8 | 1 | 1 | 6 | 16 | 39 | 풀 리그 | 6위 [3] |
1957 모스크바 | 1956년 헝가리 혁명에 대한 항의로 불참. | |||||||
1959 프라하/브르노/오스트라바/클라드노/콜린/믈라다볼레슬라프 | 8 | 4 | 1 | 3 | 24 | 31 | 2라운드 | 7위 |
1961 제네바/로잔 | 7 | 5 | 0 | 2 | 27 | 21 | 풀 리그 | 6위 |
1962 콜로라도스프링스/덴버 | 7 | 2 | 0 | 5 | 23 | 27 | 풀 리그 | 5위 |
1963 스톡홀름 | 7 | 1 | 1 | 5 | 20 | 34 | 풀 리그 | 7위 |
1965-1970 | 1965년 부터 1970년 까지 B조에서 경기 | |||||||
1971 베른/제네바 | 7 | 2 | 0 | 5 | 22 | 35 | 풀 리그 | 7위 |
1972 프라하 | 10 | 4 | 0 | 6 | 27 | 36 | 풀 리그 | 5위 |
1973 모스크바 | 10 | 1 | 0 | 9 | 18 | 68 | 풀 리그 | 6위 |
1974 | 1974년 B조에서 경기 | |||||||
1975 뮌헨/뒤셀도르프 | 10 | 3 | 0 | 7 | 24 | 43 | 풀 리그 | 6위 |
1976 카토비체 | 10 | 2 | 0 | 8 | 21 | 55 | 풀 리그 | 7위 |
1977-1978 | 1977년 부터 1978년 까지 B조에서 경기 | |||||||
1979 모스크바 | 8 | 2 | 0 | 6 | 26 | 49 | 강등 라운드 | 7위 |
1980 | 1980년 B조에서 경기 | |||||||
1981 스톡홀름/예테보리 | 8 | 1 | 1 | 6 | 22 | 49 | 강등 라운드 | 7위 |
1982 | 1982년 B조에서 경기 | |||||||
1983 도르트문트/뒤셀도르프/뮌헨 | 10 | 4 | 1 | 5 | 37 | 39 | 풀 리그 | 5위 |
1984 | 1984년 B조에서 경기 | |||||||
1985 프라하 | 10 | 3 | 1 | 6 | 23 | 38 | 풀 리그 | 7위 |
1986 | 1986년 B조에서 경기 | |||||||
1987 빈 | 10 | 3 | 2 | 5 | 35 | 44 | 풀 리그 | 6위 |
1988 | 1988년 B조에서 경기 | |||||||
1989 스톡홀름/쇠데르텔리에 | 10 | 2 | 0 | 8 | 19 | 45 | 강등 라운드 | 7위 |
1990-1991 | 1990년 부터 1991년 까지 B조에서 경기 | |||||||
1992 프라하/브라티슬라바 | 8 | 3 | 1 | 4 | 21 | 24 | 8강 | 6위 |
1993 도르트문트/뮌헨 | 6 | 3 | 0 | 3 | 16 | 18 | 1라운드 | 5위 |
1994 볼차노/카나체이/밀라노 | 7 | 3 | 0 | 4 | 16 | 18 | 8강 | 7위 |
1995 스톡홀름/예블레 | 7 | 2 | 0 | 5 | 14 | 20 | 8강 | 7위 |
1996 빈 | 7 | 2 | 1 | 4 | 15 | 23 | 8강 | 8위 |
1997 | 1997년 B조에서 경기 | |||||||
1998 취리히/바젤 | 6 | 1 | 1 | 4 | 12 | 18 | 순위 결정전 | 11위 |
1999 오슬로/하마르/릴레함메르 | 6 | 1 | 2 | 3 | 13 | 17 | 순위 결정전 | 10위 |
2000 상트페테르부르크 | 6 | 3 | 0 | 3 | 17 | 18 | 순위 결정전 | 9위 |
2001 쾰른/하노버/뉘른베르크 | 7 | 3 | 0 | 4 | 16 | 17 | 8강 | 8위 |
2002 예테보리/칼스타드/옌셰핑 | 7 | 3 | 1 | 3 | 17 | 16 | 8강 | 8위 |
2003 헬싱키/탐페레/투르쿠 | 7 | 4 | 0 | 3 | 16 | 15 | 8강 | 6위 |
2004 프라하/오스트라바 | 6 | 1 | 2 | 3 | 8 | 17 | 순위 결정전 | 9위 |
2005 인스브루크/빈 | 6 | 0 | 2 | 4 | 9 | 20 | 강등 라운드 | 15위 |
2006 | 2006년 디비전 1에서 경기 | |||||||
2007 모스크바/므이티시 | 6 | 2 | 1 | 3 | 15 | 20 | 순위 결정전 | 9위 |
2008 퀘벡 시/핼리팩스 | 6 | 2 | 0 | 4 | 18 | 25 | 순위 결정전 | 12위 |
2009 베른/클로텐 | 6 | 1 | 0 | 5 | 8 | 24 | 순위 결정전 | 15위 |
2010 쾰른/만하임/겔젠키르헨 | 9 | 4 | 2 | 3 | 15 | 14 | 준결승 | 4위 |
2011 브라티슬라바/코시체 | 7 | 4 | 0 | 3 | 22 | 24 | 8강 | 7위 |
/ 2012 헬싱키/스톡홀름 | 7 | 2 | 0 | 5 | 14 | 27 | 1라운드 | 12위 |
/ 2013 스톡홀름/헬싱키 | 7 | 2 | 1 | 4 | 13 | 20 | 1라운드 | 9위 |
2014 민스크 | 7 | 1 | 1 | 5 | 12 | 23 | 1라운드 | 14위 |
2015 프라하/오스트라바 | 7 | 2 | 0 | 5 | 11 | 24 | 1라운드 | 10위 |
2016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 8 | 4 | 1 | 3 | 22 | 20 | 8강 | 7위 |
/ 2017 쾰른/파리 | 8 | 2 | 3 | 3 | 20 | 23 | 8강 | 8위 |
2018 코펜하겐/헤르닝 | 8 | 1 | 3 | 4 | 19 | 21 | 1라운드 | 11위 |
2019 브라티슬라바/코시체 | 8 | 5 | 0 | 3 | 22 | 18 | 8강 | 6위 |
2020 취리히/로잔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취소. | |||||||
2021 리가 | 10 | 4 | 1 | 5 | 27 | 24 | 준결승 | 4위 |
2022 탐페레/헬싱키 | 8 | 4 | 1 | 3 | 26 | 24 | 8강 | 7위 |
/ 2023 탐페레/리가 | 10 | 6 | 0 | 4 | 34 | 27 | 결승전 | 은메달 |
2024 프라하/오스트라바 | 8 | 4 | 1 | 3 | 34 | 25 | 8강 | 6위 |
3. 3. 유럽 선수권 대회
독일은 191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스위스를 1-0으로 꺾고 영국에게 5-1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11년에는 보헤미아에게 4-1로 패하고 벨기에를 6-0으로 꺾으며 다시 '''은메달'''을 차지했다.[2]1912년 대회는 오스트리아가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IIHF) 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무효 처리되었지만, 독일은 보헤미아에게 4-2로 패하고 오스트리아에게 9-3으로 승리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3] 1913년에는 보헤미아에 4-2, 벨기에에 8-5로 패하고, 오스트리아를 14-4로 꺾으며 '''동메달'''을 획득했다.[4]
1914년 대회에서는 보헤미아에 2-0으로 승리하고, 벨기에에 4-2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1927년 대회에서 프랑스를 2-1로 꺾고, 폴란드와 1-1 무승부, 오스트리아에 2-1 패배, 헝가리에 6-0 승리, 체코슬로바키아에 3-1 승리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1929년 대회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에 3-0, 폴란드에 2-0으로 패하며 8위를 기록했다. 1932년 대회에서는 스웨덴과 1-1 무승부를 기록하고, 스위스에 1-0으로 패배, 영국에 1-0으로 승리하며 4위를 기록했다.
3. 4. 월드컵 오브 하키
3. 5. 캐나다컵
독일은 1996년과 2004년에 출전했지만, 두 대회 모두 8강에서 탈락했다. 2016년에는 팀 유럽의 일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3. 6. 기타 대회
독일은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적은 없지만, 여러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도이칠란트컵: 1995년, 1996년, 2009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5년, 2021년, 2022년, 2023년 우승
- 닛산컵: 1993년 우승
- 1996년 월드컵 오브 하키 - 8강
- 2004년 월드컵 오브 하키 - 8강
- 2016년 월드컵 오브 하키 - 팀 유럽의 일원으로 은메달 획득
4. 선수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오랜 역사 동안 수많은 선수들이 활약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뛰어난 기록과 업적으로 독일 아이스하키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구분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최다 출장 | 1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
3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
4 | 게르트 트룬치카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
5 | 안드레아스 니더베르거 | 1983–1998 | 213 | 17 | 41 | 134 | |
6 | 에리히 퀸하클 | 1992–2007 | 211 | 134 | 90 | 224 | |
7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
8 | 다니엘 크로이처 | 1998–2011 | 200 | 36 | 51 | 87 |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10 | 하롤트 크라이스 | 1978–1992 | 188 | 17 | 34 | 51 | |
최다 득점 | 1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
3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4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
5 | 에른스트 쾨프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
6 | 마르쿠스 에겐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
7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
8 | 헬무트 슈타이거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
9 | 미하엘 볼프 | 1995–2011 | 152 | 52 | 36 | 88 | |
구스타프 하니히 | 1964–1974 | 112 | 52 | 32 | 79 | ||
최다 포인트 | 1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
3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
4 | 게르트 트룬치카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
5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6 | 에른스트 쾨프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
7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
8 | 필리프 고굴라 | 2005–2017 | 158 | 29 | 76 | 105 | |
헬무트 슈타이거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
10 | 마르쿠스 에겐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4. 1. 현역 선수
2024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 로스터 기준이다.[3][4]감독: 하롤트 크라이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신장 | 체중 | 생년월일 | 소속팀 |
---|---|---|---|---|---|---|
5 | 수비수 | 토비아스 푀르러 | 1.95m | 102kg | 1997년 9월 6일 | HC 암브리-피오타de |
6 | 수비수 | 카이 비스만 | 1.9m | 88kg | 1996년 10월 22일 | Eisbären 베를린de |
7 | 공격수 | 막시밀리안 카스트너 | 1.8m | 84kg | 1993년 1월 3일 | 레드불 뮌헨de |
17 | 공격수 | 토비아스 에더 | 1.83m | 81kg | 1998년 3월 4일 | Eisbären 베를린de |
19 | 공격수 | 보이치에흐 스타호비악 | 1.85m | 85kg | 1999년 7월 3일 | ERC 잉골슈타트de |
27 | 수비수 | 막시밀리안 슈버 | 1.91m | 92kg | 2002년 8월 25일 | 애리조나 코요테스 |
30 | 골키퍼 | 필립 그루바우어 | 1.85m | 84kg | 1991년 11월 25일 | 시애틀 크라켄 |
33 | 공격수 | JJ 페터카 | 1.8m | 85kg | 2002년 1월 14일 | 버팔로 세이버스 |
35 | 골키퍼 | 마티아스 니더베르거 | 1.8m | 80kg | 1992년 11월 26일 | 레드불 뮌헨de |
38 | 수비수 | 파비오 바그너 | 1.82m | 83kg | 1995년 9월 17일 | ERC 잉골슈타트de |
40 | 공격수 | 알렉산더 에hl | 1.75m | 76kg | 1999년 11월 28일 | 뒤셀도르프 EGde |
41 | 수비수 | 요나스 뮐러 | 1.83m | 88kg | 1995년 11월 19일 | Eisbären 베를린de |
42 | 공격수 | 야신 엘리즈 – A | 1.77m | 84kg | 1992년 12월 30일 | 레드불 뮌헨de |
45 | 골키퍼 | 토비아스 안치츠카 | 1.86m | 82kg | 2001년 2월 27일 | 쾰너 하이에de |
49 | 수비수 | 루카스 캘블레 | 1.88m | 93kg | 1997년 10월 13일 | 아들러 만하임de |
62 | 공격수 | 파커 투오미 | 1.76m | 77kg | 1995년 10월 31일 | 쾰너 하이에de |
65 | 공격수 | 마르크 미하엘리스 | 1.77m | 79kg | 1995년 7월 31일 | 아들러 만하임de |
72 | 공격수 | 도미니크 카훈 – A | 1.8m | 79kg | 1995년 7월 2일 | SC 베른de |
73 | 공격수 | 루카스 라이헬 | 1.83m | 78kg | 2002년 5월 17일 | 시카고 블랙호크스 |
77 | 공격수 | 다니엘 피쉬부흐 | 1.8m | 80kg | 1993년 8월 19일 | 아들러 만하임de |
78 | 공격수 | 니코 슈투름 | 1.89m | 85kg | 1995년 5월 3일 | 산호세 샤크스 |
79 | 공격수 | 콜린 우그벨리케 | 1.86m | 88kg | 1999년 9월 24일 | 이제론 루스터스de |
83 | 공격수 | 레온하르트 푀더를 | 1.82m | 87kg | 1993년 9월 1일 | Eisbären 베를린de |
91 | 수비수 | 모리츠 뮐러 – C | 1.87m | 92kg | 1986년 11월 19일 | 쾰너 하이에de |
95 | 공격수 | 프레데릭 티펠스 | 1.83m | 87kg | 1995년 5월 20일 | Eisbären 베를린de |
4. 2. 주요 선수
독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선수 | 포지션 | 주요 경력 및 업적 |
---|---|---|
레온 드라이자이틀 | 공격수 | NHL 에드먼턴 오일러스 소속, 2020년 NHL MVP(하트 트로피) 수상 |
필리프 그루바우어 | 골리 | NHL 시애틀 크라켄 소속, 2021년 베지나 트로피(최고 골리) 후보 |
크리스티안 에르호프 | 수비수 | NHL에서 789경기 출전 |
마르셀 고크 | 공격수 | NHL에서 1130경기 출전 |
요헨 헤흐트 | 공격수 | NHL에서 833경기 출전 |
우도 키슬링 | 수비수 | 독일 리그 321경기 출전, 분데스리가 명예의 전당 헌액 |
에리히 퀸하클 | 공격수 | 독일 리그 통산 최다 득점(1431점), IIHF 명예의 전당 헌액 |
우베 크루프 | 수비수 | NHL에서 729경기 출전, 스탠리 컵 우승(1996, 2002), 전 독일 대표팀 감독 |
로베르트 뮐러 | 골리 | 독일 리그에서 활약, 등번호 80번 영구 결번 |
데니스 자이덴베르크 | 수비수 | NHL에서 859경기 출전, 스탠리 컵 우승(2011) |
알로이스 슐로더 | 수비수 | 독일 리그 209경기 출전, 1976년 올림픽 동메달 |
마르코 슈투름 | 공격수 | NHL에서 938경기 출전, 전 독일 대표팀 감독 |
자버 운신 | 전 독일 대표팀 감독, 1976년 올림픽 동메달 | |
루디 발 | ||
카를 프리젠 | ||
토마스 그라이스 | ||
디터 헤겐 | ||
구스타프 예네케 | ||
랄프 크루거 | ||
패트릭 라이머 | ||
올라프 쾰지히 | ||
헬무트 데 라프 | ||
한스 람프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4 | 게르트 트룬치카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5 | 안드레아스 니더베르거 | 1983–1998 | 213 | 17 | 41 | 134 |
6 | 에리히 퀸하클 | 1992–2007 | 211 | 134 | 90 | 224 |
7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8 | 다니엘 크로이처 | 1998–2011 | 200 | 36 | 51 | 87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10 | 하롤트 크라이스 | 1978–1992 | 188 | 17 | 34 | 51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4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5 | 에른스트 쾨프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6 | 마르쿠스 에겐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7 | 로렌츠 풍크 | 1965–1979 | 225 | 57 | 29 | 86 |
8 | 헬무트 슈타이거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9 | 미하엘 볼프 | 1995–2011 | 152 | 52 | 36 | 88 |
구스타프 하니히 | 1964–1974 | 112 | 52 | 32 | 79 |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에리히 퀸하클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알로이스 슐로더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4 | 게르트 트룬치카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5 | 라이너 필리프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6 | 에른스트 쾨프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7 | 우도 키슬링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8 | 필리프 고굴라 | 2005–2017 | 158 | 29 | 76 | 105 |
헬무트 슈타이거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
10 | 마르쿠스 에겐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4. 3. 영구 결번
- 로베르트 디트리히
- 로베르트 뮐러
5. 역대 전적
순위 | 선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출장 경기 | 득점 | 도움 | 포인트 |
---|---|---|---|---|---|---|---|
1 | 우도 키슬링 | D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2 | 디터 헤겐 | C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로렌츠 풍크 | F | 1965–1979 | 225 | 57 | 29 | 86 |
4 | 게르트 트룬치카 | C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5 | 안드레아스 니더베르거 | D | 1983–1998 | 213 | 17 | 41 | 134 |
6 | 에리히 퀸하클 | F | 1992–2007 | 211 | 134 | 90 | 224 |
7 | 알로이스 슐로더 | F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8 | 다니엘 크로이처 | D | 1998–2011 | 200 | 36 | 51 | 87 |
라이너 필리프 | F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
10 | 하롤트 크라이스 | C | 1978–1992 | 188 | 17 | 34 | 51 |
순위 | 선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출장 경기 | 득점 | 도움 | 포인트 |
---|---|---|---|---|---|---|---|
1 | 에리히 퀸하클 | F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C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라이너 필리프 | F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4 | 알로이스 슐로더 | F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5 | 에른스트 쾨프 | F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6 | 마르쿠스 에겐 | F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7 | 로렌츠 풍크 | F | 1965–1979 | 225 | 57 | 29 | 86 |
8 | 헬무트 슈타이거 | F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9 | 미하엘 볼프 | F | 1995–2011 | 152 | 52 | 36 | 88 |
구스타프 하니히 | F | 1964–1974 | 112 | 52 | 32 | 79 |
순위 | 선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출장 경기 | 득점 | 도움 | 포인트 |
---|---|---|---|---|---|---|---|
1 | 에리히 퀸하클 | F | 1969–1985 | 211 | 134 | 90 | 224 |
2 | 디터 헤겐 | C | 1981–1999 | 301 | 117 | 68 | 185 |
3 | 알로이스 슐로더 | F | 1965–1978 | 209 | 91 | 76 | 167 |
4 | 게르트 트룬치카 | C | 1976–1993 | 223 | 51 | 112 | 163 |
5 | 라이너 필리프 | F | 1969–1982 | 200 | 95 | 57 | 152 |
6 | 에른스트 쾨프 | F | 1959–1976 | 158 | 85 | 44 | 129 |
7 | 우도 키슬링 | D | 1972–1992 | 321 | 45 | 68 | 113 |
8 | 필리프 고굴라 | D | 2005–2017 | 158 | 29 | 76 | 105 |
헬무트 슈타이거 | F | 1951–1960 | 157 | 53 | 52 | 105 | |
10 | 마르쿠스 에겐 | F | 1951–1960 | 104 | 74 | 29 | 103 |
상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1 | 0 | 0 | 15 | 1 | +14 | |
54 | 36 | 4 | 14 | 177 | 84 | +93 | |
29 | 10 | 2 | 17 | 69 | 83 | -14 | |
14 | 9 | 1 | 4 | 69 | 32 | +37 | |
'''' | 4 | 0 | 1 | 3 | 5 | 12 | -7 |
1 | 1 | 0 | 0 | 13 | 1 | +12 | |
132 | 19 | 7 | 106 | 251 | 674 | -423 | |
1 | 1 | 0 | 0 | 3 | 2 | +1 | |
56 | 8 | 2 | 46 | 117 | 230 | −113 | |
'''' | 65 | 10 | 6 | 49 | 120 | 364 | −244 |
29 | 19 | 0 | 10 | 89 | 65 | +24 | |
'''' | 20 | 12 | 4 | 4 | 73 | 54 | +19 |
'''' | 10 | 6 | 1 | 3 | 40 | 23 | +17 |
2 | 2 | 0 | 0 | 7 | 3 | +4 | |
122 | 26 | 14 | 82 | 309 | 537 | −228 | |
47 | 27 | 4 | 16 | 138 | 97 | +41 | |
15 | 11 | 1 | 3 | 65 | 26 | +39 | |
22 | 17 | 4 | 1 | 72 | 32 | +40 | |
1 | 1 | 0 | 0 | 11 | 2 | +9 | |
59 | 33 | 9 | 17 | 230 | 157 | +73 | |
23 | 21 | 0 | 2 | 138 | 57 | +81 | |
11 | 6 | 0 | 5 | 36 | 26 | +10 | |
41 | 22 | 4 | 15 | 105 | 96 | +9 | |
11 | 10 | 1 | 0 | 79 | 23 | +56 | |
49 | 33 | 2 | 14 | 238 | 145 | +93 | |
54 | 31 | 7 | 16 | 192 | 161 | +31 | |
보헤미아 모라바 보호령 | 1 | 0 | 0 | 1 | 1 | 5 | −4 |
21 | 17 | 0 | 4 | 100 | 57 | +43 | |
33 | 5 | 3 | 25 | 62 | 111 | −49 | |
'''' | 1 | 1 | 0 | 0 | 14 | 0 | +14 |
83 | 37 | 2 | 44 | 202 | 221 | -19 | |
11 | 8 | 2 | 1 | 41 | 15 | +26 | |
2 | 2 | 0 | 0 | 10 | 4 | +6 | |
71 | 0 | 1 | 70 | 111 | 581 | -470 | |
112 | 12 | 5 | 95 | 200 | 523 | −323 | |
160 | 72 | 16 | 72 | 527 | 451 | +76 | |
7 | 3 | 2 | 2 | 18 | 15 | +3 | |
113 | 31 | 9 | 73 | 311 | 446 | −135 | |
'''' | 33 | 21 | 5 | 7 | 173 | 111 | +62 |
합계 | 1,520 | 580 | 119 | 821 | 4,427 | 5,516 | -1,089 |
참조
[1]
웹사이트
Happy medal winners
http://pyeongchang20[...]
2018-08-15
[2]
웹사이트
2020 IIHF Ice Hockey World Championship cancelled
https://www.iihf.com[...]
IIHF
2020-03-21
[3]
웹사이트
Bundestrainer Harold Kreis nominiert Aufgebot für den Abschluss der WM-Vorbereitung
https://www.deb-onli[...]
deb-online.de
2024-04-30
[4]
웹사이트
Team roster: Germany
https://stats.iihf.c[...]
iihf.com
2024-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